U.S Life/보는미국·사는미국 18

침대용어 및 침대고르기

메트리스 종류 medium firm, extra firm, Super firm의 3가지 종류가 있으며, Super firm 이 가장 딱딱한 소재로 한국사람들에게 알맞다. 침대크기 1인용(Twin size), 2인용(Full double size), Queen Size와 가장 넓은 King Size 가 있다. 미국의 침대는 한국처럼 set로 판매하지 않는다. 내가 필요한 부분들을 구매해야 한다. 매트리스, 박스 스프링, 헤드보드, 헤드프레임 시트 Bottom sheet : 매트리스 위에 까는 것 Top sheet : 모포 밑에 까는 것 Bedpad: 메트리스위에 세탁이 가능한 퀼트를 깐다. Fitted sheet: 퀼트위에 씌운다. 12월 26일 부터 열리는 After christmas Sale이나 1~2..

주택 구입 및 절차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융자를 받으려면 Credit 이 좋거나 저축금이 있어야 하고, 회사로 부 터의 급여 명세(최근 2개월 분)도 필요하다. 융자 기간은 30년이 보통이며, 15년, 20년, 40년 등 편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계약금은 보통 20%를 지급하며, 최소 10% 이상 부 터 가능 하다. 융자 상환 능력의 기준은 월 수입의 3분의 1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월 수입이 $3,000 이라면, 월 $3,000까지 상환능력이 있다고 보고 금리 10%의 30년 융자 시, $115,000불까지 융자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28,750의 계약금(20%)이 있다면, 총 $143,750의 집을 살 수 있다. 부동산 매매는 중개인을 통하는 경우라도 반듯이 Escrow라 는 양도 대행 회사의 수속을 ..

아파트 임대계약

미국에서 아파트나 개인 홈 타운 등을 렌트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 할까 한다.나도 처음 미국에 와서 3개월간은 방 6개짜리 Single home에서 생활 하다, Towmhome으로 이사를 했다.이사를 하면서 일반 한국처럼 생긴 아파트부터 타운홈까지 한 20군데 이상은 돌아다니며 집을 보고 결정을 했다. 임대 하고 싶은 아파트나 집이 결정되면 집주인(landload)과 임대 계약을 맺는다. 이는 한국과 별반 다르지 않지만 보통 아파트 계약의 경우 계약서 내용만 A4 용지로 2~30장 된다. 모든 내용을 꼼꼼히 살펴 볼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확인을 안하고 사인하기에는 미국이란 나라가 계약자를 위해 그리 편의를 제공하진 않았다고 보기에 최소 어떤 내용인가 정도는 대충 확인을 하는 것이 좋다. 계약 전 계약서..

미국에서 집구하기

미국에 와서 장기로 체류해야 하는 경우 집을 구해야 한다. 만일 유학을 온 경우라면, 지리와 환경 등 내가 어느 정도 알고 찾아 다닐 수 있기 전까지는 Homestay를 이용하면 되지만, 가족들과 함께 온 경우라면 집을 구해야 한다. 집은 내 상황에 맞게 구해야 하는데, 보통 지역에 따라 가격대도 차이가 많이 난다. 일명 한국식으로 학군이 좋거나 살기 좋은 곳 혹은 도시라면 매월 내야 하는 월세도 비싼 편이다. 참고로 동부의 Maryland 주 기준으로 방 3개 아파트의 경우 싼 지역은 1,500불선, 비싼지역은 2,500~3,000불 선이다. 집을 구하는 방법 중에는 아는 사람을 통해 얻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친한 사람이 아니라면 내 입맛에 맞는 집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보통 중개소를 이용하게 되..

미국의 주거타입

일반적으로 미국은 한국과 많은 부분이 다르다. 일반적인 개인주택에 해당하는 Single house, Townhouse, Condomium 과 아파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통 집구조를 보면, 침실(Bedroom), 거실(Livingroom), 식당(Diningroom), 부엌(Kitchen), 화장실 혹은 욕실(bathroom)으로 구분되며, 집의 종류에 따라서 아파트 같은 경우는 Den 이라고 하여, 함께 TV를 보거나 독서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기도 하다. 보통은 하나의 방과 같은 형태로 만약 3bedroom이 필요한 경우, 2bedroom과 den이 있는 아파트를 이용하기도 한다. 보통 방이 5개 이상 되는 큰 Single house의 경우는 Diningroom 이외 손님들이 왔을 때 함께 ..

미국에서 핸드폰 사용하기(2) 핸드폰 구매

한쿡에서 전화기 가져와서 Pre-Paid로 사용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걸 알았다. 내가 오직 전화 통화와 메세지만 주고 받으면 된다는 사람이 아니라면, 분명 Data 사용이 절실 함을 느낄 테고, 그렇다면 전화기를 구입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는 가에 대해 알아보자. 모든 정보의 샘은 인터넷이다. 일단 인터넷을 통해서 알아보자. 워워워~~~ Internet을 어떻게 하냐고? 자기가 사는 근처 도서관을 가자. 그럼 무상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PC를 제공해 준다. 물론 간단한 절차를 거쳐 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이 방법은 추후 다시 기술 하겠다. 자. 내가 본것은 AT&T와 Verizon 이다. 왜??? 제갑 주고 서비스 받으려면 한국에서도 SKT 아니면 KT 서비스를 받아야 하듯이 미쿡에서도 이 두회사 서비스를..

미국에서 핸드폰 사용하기(1) 한국 스마트 폰 사용하기

흔히 Naver에 미국에서 전화기 사용 방법을 찾다 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 중 하나가 한국에서 사용하던 스마트 폰을 미국에 가져와서 SIM카드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방법일 것이다. 만일 당신이 미국 여행 혹은 출장을 위한 단기 사용 목적이 아니라면, 몇 개월 혹은 몇 년 간의 어학 연수 나 유학을 위해서 미국에 오는 것이라면, 당신이 사용하던 스마크 폰은 한국에서 중고나라에 팔고 미국에 와서 전화기를 새로 살 것을 권장한다. 자 이제 이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진실을 밝혀보자. 2012년 여름 기준으로 한국에는 수도 없이 다양한 스마트 폰들이 일명 "버스 폰"으로 풀리고 있다. 겔3도 17만원에 3개월이라는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뽐뿌를 하고 있는데, 미쿡은 사정이 달라도 너~~~무~~~..

미국 인터넷 요금은 한국의 5배!!! 속도는 절반 수준!!!

대한민국의 인터넷 사용 요금이 다른 아시아 나 미국보다 저렴하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건 싸도 "너~~~무~~~싸~~~!!!" 싱가폴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한국의 인터넷 요금은 정말 싸고, 속도도 빠르다고 했었다. 미국의 인터넷 요금과 속도, 요즘 TV에서는 Verizon의 FiOS를 뭔가 혁신적인 제품인양 선전을 해대고 있다. 그런데 [눈부시게 빠른 속도]를 보자. 꼴랑 Download 75M/ Upload 35M인데 가격은 $84.99, 우리나라 일반적인 100M 광랜 가격의 5배나 한다. 2002년 한국에서도 인터넷 요금이 그리 싸지 않았던 시절, 미국에서는 회선 당 $50 정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속도는 뭐 1~2M 정도, 때문에 조카 녀석들이 속도 문제로 공유..